갱년기의 대표적인 증상 중에 하나인 불면증은 삶의 만족도를 떨어뜨리고 심한 피로감, 의욕상실, 질병악화 등 다양한 건강문제를 야기시킵니다. 갱년기 불면증의 주요 원인과 숙면을 취하는 데 좋은 방법을 알아봅니다.
갱년기 불면증 자가진단
1. 잠들기 힘든 기간이 한 달 이상 지속된다.
2. 20분 이상 잠들지 못한다.
3. 잠든 후 중간에 깨거나 새벽에 일찍 깬 후 다시 잠들기 어렵다.
4. 불면으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있다.
5. 잠잘 시간이 되면 불안해진다.
갱년기 불면증의 원인
- 호르몬의 변동
여성은 사춘기부터 생리와 배란 등 호르몬 변동성이 많습니다. 에스트로겐은 생리주기를 조절하고 피부와 혈관을 탄력있게 만들고 기억력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호르몬 변동성은 젊은 여성들에게 생기는 생리증후군의 주요 원인이기도 합니다. 폐경 후에는 에스트로겐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로 인하여 안면홍조, 발한 등 신체적인 증상이 생겨 숙면을 방해합니다. 또한 폐경 후에는 남성호르몬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져 코골이, 수면 무호흡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생리전증후군 원인 및 증상과 개선방법
생리주기가 가까워질수록 개인마다 증상은 천차만별이지만 가임기의 여성의 약 70~80% 정도가 생리전 급격한 심리변화, 다양한 신체적 증상들을 경험을 합니다. 간혹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
kkuris-house.tistory.com
- 신장 기능의 저하
갱년기에는 노화로 인해 여러가지 장기의 기능이 떨어지게 됩니다. 특히 노폐물을 거르는 신장의 기능이 약화돼 심장의 열을 내리지 못하고 열기가 심장에 머물러 있어 과열됩니다. 이 경우 전신에 피와 에너지 등의 순환이 원활하지 못해 안면홍조, 가슴 답답함 등과 같은 여려 신체적인 증상이 발현되면서 불면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스트레스
갱년기에는 호르몬의 변화로 인하여 감정의 기복이 심해져 스트레스에 더욱 취약합니다. 평소 생활하면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거나 풀지 못하고 참기만 하면 정서적 불안감이 증가하여 숙면을 취하기 어렵습니다.
숙면을 취하는 방법
피로감, 졸음, 무기력, 우울함, 질병악화 등을 유발하는 갱년기 불면증은 방치하면 만성화될 우려가 높습니다. 따라서 숙면을 취하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극복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 요가, 명상
여러가지 신체적 증상으로 인하여 잠이 잘 안 온다면 스트레스 완화와 불안감을 낮추기 위하여 요가나 명상 등을 통해 마음을 안정시켜 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발마사지
최근 온라인 저널인 ‘갱년기(Menopause)’에 발표된 북미 완경 학회(The North American Menopause Society, NAMS) 연구 결과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발 마사지를 하면 여성의 하루 평균 수면시간을 최대 1시간까지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발마사지는 불안과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다리에 위치한 신경세포를 자극해 긴장을 풀어주고 몸의 균형을 회복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산림욕
최근 국내 의료진이 산림치유가 갱년기 여성의 불면증 개선에 효과가 있는다는 유의미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명상, 체조, 산책, 다리마사지, 온욕, 냉욕 등 다양한 오감체험으로 구성된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여러 검사에서 참가자들의 불면증이 개선되었습니다.
- 산책과 영양제 섭취
세로토닌이 부족하면 불면증과 우울증의 원인이 되므로 하루 30분정도의 산책을 하고, 건강기능식품 등 영양제의 섭취로 부족한 영양소를 보충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또한 과식, 과음, 고카페인의 섭취는 숙면을 방해할 수 있으니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합니다.
- 수면 보조제
가벼운 불면증 증상이 아닌 일상생활이 힘들정도의 심각한 불면증이 있다면 만성화가 진행되기 전에 수면 보조제의 도움을 받아 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면 무호흡증의 원인 및 치료와 예방
코골이가 심하면 수면 무호흡증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수면 무호흡증은 수면 중에 호흡이 수초동안 멈추는 증상으로, 호흡이 멈춤으로서 산소 공급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심각한 문제로
kkuris-house.tistory.com
출처: 헬스인뉴스, 메디게이트뉴스, 하이닥, 약업신문 등 참조
'생활정보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19와 독감 증상 비교 (2) | 2022.11.20 |
---|---|
자기 전 스마트폰 사용이 유발하는 질환과 예방법 (0) | 2022.11.20 |
수면 무호흡증의 원인 및 치료와 예방 (6) | 2022.11.10 |
노릇노릇 맛있는 삼겹살 건강하게 즐기기 위한 방법 (3) | 2022.10.22 |
가을 햇밤 따기, 밤의 수확 시기와 효능에 대해 알아보아요 (5) | 2022.10.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