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건강

수면 무호흡증의 원인 및 치료와 예방

by 꾸리네 2022. 11. 10.
반응형

코골이가 심하면 수면 무호흡증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수면 무호흡증은 수면 중에 호흡이 수초동안 멈추는 증상으로,  호흡이 멈춤으로써 산소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수면 무호흡증의 원인을 알아보고 치료를 통해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수면 무호흡증의 개념

수면 무호흡증이란 자는 동안 호흡이 수초동안 일시적으로 멈추는 증상을 일컫습니다. 대개 심한 코골이를 하다가 갑자기 숨이 막혀 컥컥거리다가 수초 동안 호흡이 멈췄다가 푸~ 하고 숨을 내쉬는 증상을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10초 이상 숨을 쉬지 않는 횟수가 시간당 5번 이상이면 치료가 시급한 수면 무호흡증이라고 합니다. 

 

  • 폐쇄성 수면 무호흡

호흡은 하려고 하지만 구강 내 기도가 폐쇄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수면 무호흡증의 90%이상이 해당된다고 합니다. 이때 코골이가 없어도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일 수도 있고, 코골이가 있어도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없는 경우도 있으니, 수면클리닉 등에서 자세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중추성 수면 무호흡

호흡기에 이상이 없지만 호흡을 하려는 노력이 일시적으로 정지되어 수면 중 호흡이 멈추는 증상을 말합니다. 이는 뇌의 호흡 중추가 불안정해서 발생합니다. 

 

  • 혼합성 수면 무호흡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증상과 중추성 수면 무호흡의 증상이 번갈아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주로 처음에는 중추형으로 시작하여 점차 폐쇄형으로 바뀌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수면저호흡

수면 중  호흡이 정지하지는 않으나 호흡량이 절반 이하로 감소하고 혈액 내 산소 농도가 낮아지는 상태입니다. 수면저호흡 또한 시간당 5회 이상 나타나면 수면호흡장애로 진단이 가능합니다. 

 

수면 무호흡증의 원인

수면 무호흡증의 90% 이상이 해당되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원인은 자는 동안 상기도가 좁아지기 때문입니다. 줄어든 기도에로 공기가 넘어가다 보니 몸이 공기를 부족하다고 느끼고 호흡을 더 강하게 하려고 노력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기도가 확장되는데, 기도 확장이 잘 이뤄지지 않으면 수면무호흡이 일어납니다.  상기도가 좁거나 좁아지는 주요 원인을 알아보겠습니다. 

 

  • 비만

비만도가 증가하면 목 부위에 지방이 축척되거나 혀, 편도 등의 조직이 비대해진 경우, 상기도 내경이 좁아져 폐쇄 증상이 심해집니다. 따라서 목 안의 공간이 줄어들어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노화

나이가 들면 근육의 탄력이 떨어지기때문에 혀나 편도조직이 늘어져 기도를 막기도 합니다.

 

  • 음주 및 흡연

술은 점막에 부종을 발생시켜 기도를 좁게 만듭니다. 또한 오랫동안 담배를 피운 사람은 담배 성분이 목젖과 구강 내 점막조직을 자극해 점막에 신경내분비성 염증을 일으켜 부종을 유발합니다. 결국 입천장과 구강과 비강을 거쳐 후두로 연결되는 통로 부분이 정상보다 늘어지면서 공기 흐름을 방해해 더 심하게 코를 골고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도 악화시킵니다.

 

  • 턱이 비정상적으로 작거나 목이 짧고 굵은 사람

턱이 비정상적으로 작거나 목이 짧고 굵은 사람에게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이 나타나는 경우도 많습니다.

 

수면무호흡증의 위험성

  • 뇌 세포 손상

수면무호흡증이 장기화 되면 뇌의 산소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뇌세포의 손상을 가져옵니다. 또한 혈중 산소량이 감소하여 심각한 뇌 기능의 장애를 일으킬 수 있으며, 뇌졸중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고혈압 유발

원활한 산소 공급의 방해로 폐혈관 수축 및 일시적인 폐동맥 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실제로 고혈압 환자의 대다수가 수면무호흡증, 코골이 증상을 겪으며, 수면 무호흡증에 의한 반복적인 호흡 단절은 혈액 내 산소 소모 촉진을 야기합니다. 

 

  • 수면의 질 하락

수면 무호흡증은 숙면을 방해하여 수면의 질을 크게 하락시킵니다. 이로 인하여 주간에 피로감, 졸림증, 예민한 성격, 성욕감소, 발기부전 등 다양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수면무호흡증의 치료와 예방

수면무호흡증의 치료는 크게 비수술적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비수술적 치료

양압기를 착용하고 수면하는 여성의 모습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양압기 사용이 대표적입니다. 양압기는  좁아진 기도에 일정한 압력의 공기를 불어넣어 주어 수면 중 호흡을 원활히 만들어주는 기기입니다. 양압기는 현존하는 수면무호흡증 치료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기 때문에 이미 수면선진국에는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치료법으로, 미국에서는 수면무호흡증을 치료하는데 가장 첫 번째로 적용하는 치료법입니다. 

 

  • 수술적 치료

원인에 따라 비중격 만곡 및 하비갑개 비후에 대한 교정술 등의 치료법이 있으며, 인두부 수술(편도 및 구인두의 점막을 절제하는 구개인두 성형술, 고주파 온열 구개술), 설부 축소수술, 두경부 골격수술(이설근전진술과 설골근절개술, 양측 상악전진술) 등의 수술적 치료법이 있습니다. 

 

예방법

  •  적정한 체중 유지: 비만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만큼 식단조절로 적정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수면 무호흡증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 금주와 금연: 지나친 음주와 흡연은 근육이 이완과 점막의 부종을 일으켜 기도가 좁아지게 해 코골이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만큼 금주와 금연을 통해 수면무호흡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옆으로 누워서 자기: 옆으로 누워서 자는 것이 똑바로 누워서 자는 것보다 연구개나 혀 같은 연조직인 아래로 처지는 것이 덜하여 수면무호흡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출처 : 헬스인뉴스, 삼성서울병원 건강정보 등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