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쏠쏠한 지식

애플페이 드디어 국내 도입되는 걸까? (feat. 현대카드 약관)

by 꾸리네 2022. 10. 8.
반응형

애플페이가 11월 30일 출시가 임박했다는 소식이 있습니다. 과연 언제 본격적으로 출시가 되는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는데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애플페이 결제방식
애플페이

 

애플페이 출시 소식의 배경

현대카드 약관 유출

아이폰의 지갑 앱 내에서 일부 현대카드 상품을 등록할 수 있다고 명시된 약관이 유출되었습니다. 약관의 내용에는 '애플페이 결제 서비스의 정의를 '가입 고객이 본인의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전용 앱을 통해 오프라인 및 온라인 가맹점에서 결제 승인 절차를 수행하는 서비스'라고 규정했으며, 시행시기를 '2022년 11월 30일'이라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에 드디어 애플페이가 국내에서 서비스를 시행한다는 소식이 퍼져나갔습니다. 그러나 애플은 물론 현대카드에서도 애플페이 서비스 출시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은 자제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현대카드 약관 유출사진
출처 온라인 커뮤니티 캡쳐

 

반응형

 

애플페이 출시가 늦어지는 이유

OECD 회원국 중 애플페이 미지원 국가는 터키와 더불어 우리나라 뿐이라고 합니다. 현재 삼성페이가 널리 이용되고 있는 반면, 한국에서 애플의 아이폰 사용자가 전체 스마트폰 사용자의 약 26%를 차지하고 있고 특히 젊은 세대의 아이폰 사용률이 압도적인데도 불구하고 왜 애플페이는 도입조차 늦어지는 걸까요? 이유를 살펴보겠습니다.

 

NFC 단말기의 낮은 보급률

애플페이와 삼성페이 결제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삼성페이는 NFC방식과 MST방식을 모두 지원하지만 애플페이는 NFC 결제방식만을 지원합니다. 현재 NFC 단말기를 가진 곳이 10만곳도 되지 않아 보급률이 10%정도로 매우 낮은 데다 NFC방식의 단말기 1대 당 비용이 15만~20만 원대 수준으로 높기 때문에 국내 신용카드 단말기의 생태계를 전환하는 데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NFC 결제방식: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단말기와 정보공유하는 방식임. 일반적으로 교통카드에 많이 사용되며, MST 방식보다 카드 인식률이나 인식 속도가 빠르고 보안 측면에서 강하다는 장점이 있음.

NFC방식 단말기
NFC 방식 단말기 이지체크

  • MST 결제방식: 카드의 마그네틱 부분을 긁어 자기장을 형성하여 통해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임. 삼성페이의 경우 단말기에 카드를 긁지 않아도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어 마그네틱을 인식하는 부분에 접촉하여 결제 가능함. 갤럭시 스마트폰을 열어보면 MST 결제를 위한 코일이 탑재되어 있어 생성된 일회용 가상 카드 정보를 담은 자기장을 MST 코일을 통해 보내 결제하는 원리임.

MST 방식 단말기
MST 방식 단말기 (주)광우정보통신

 

높은 카드결제 수수료

애플 최대 0.15% 수준 수수료 부과

삼성전자는 카드사에 별도 결제 수수료를 부과하지 않고 있지만 애플은 애플페이를 이용하는 데 최대 0.15% 수준의 수수료를 카드사에 부과해 애플페이를 도입하는 카드사로서 수수료에 대한 부담이 큰 편입니다.



아이폰 사용자들은 꾸준히 애플페이의 도입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과거와 달리 대형마트, 편의점 등을 기준으로 NFC 카드 단말기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으며 점차 NFC카드 단말기의 수요도 증가할 거라 예상됩니다. 따라서 유출된 현대카드 약관 내용처럼 11월 30일, 한국에서도 정식으로 애플페이를 이용하게 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반응형

댓글